유튜브 웹소스를 가져와 적용시킬때 모바일에서는 레이아웃이 깨지는 경우가 있는데 컨테이너 또는 블록(div)를 만들고 그공간에 아래와 같은 소스를 적용시켜 모바일 사이즈를 조절할 수있다.
.video-container {
text-align: center;
position: relative;
padding-bottom: 56.25%;
padding-top: 300px;
height: 0;
overflow: hidden;
margin: 10px 10px 30px 10px;
}
position은 위치에 대한 명령. 다른 요소들과 겹치지 않게 상대적인 위치를 지정하는 relative선언.
유튜브 프레임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은 높이를 고정시키고 padding-bottom으로 전체적인 프레임 사이즈 비율을 깨주면서 자동으로 전체 프레임 비율을 모바일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.
padding-top은 높이를 담당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높이(세로사이즈)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.
꼭 height:0으로 선언해 세로사이즈가 가변적인 형태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넘치는 부분은 overflow:hidden으로 조절 해줄 수 있다.
.video-container embed {
position: absolute;
top: 0;
left: 0;
width: 100%;
height: 100%;
}
나의 예시
<div class="sec6">
<div class="youtubeWrap">
<div class="video">
<iframe src="https://링크" width="741" height="415" frameborder="0"></iframe>
</div>
</div>
<img src="/data/skin/mobile/sec6.jpg" alt="사후관리">
</div>
---
.sec6 {position:relative;}
.sec6 .youtubeWrap {position:absolute;top:33.9%;left:3.7%;width:92%;}
.sec6 .youtubeWrap .video {position:relateve;width:100%;padding-bottom:55.9%;z-index:1}
.sec6 .youtubeWrap .video iframe {position:absolute;top:0;left:0;width:100%;height:100%}
'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ackground 이미지 (0) | 2023.03.29 |
---|---|
css 애니메이션 (0) | 2023.03.17 |
:nth-child() (0) | 2023.03.17 |
css팁 (0) | 2023.03.17 |
flex (1) | 2023.03.16 |